도서상세정보
|
경쟁 우위 전략
저자 :
브루스 그린왈드, 주드 칸
출판사 :
처음북스
출판년도 :
202301
|
경쟁 우위 전략
저자 : 브루스 그린왈드, 주드 칸 / 출판사 : 처음북스
|
브루스 그린왈드, 주드 칸 지음 처음북스 / 2023년 1월 / 307쪽 / 23,000원
▣ 저자 브루스 그린왈드, 주드 칸 브루스 그린왈드 - 컬럼비아 대학 경영 대학원에서 금융 및 자산관리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미디어 분야에서의 가치투자, 전략 행위의 경제학, 시장의 세계화 및 전략 관리를 가르친다. 「뉴욕타임스(New York Times)」가 ’월스트리트 전문가의 전문가’라고 설명했듯이 생산성 및 정보 경제학에 전문성을 보유한 가치 투자의 권위자이다. MIT에서 학사 및 박사 학위를 받았고 프린스턴 대학에서 행정학 석사 및 이학 석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부인 아바 시브(Ava Seave)와 함께 뉴욕에서 살고 있다. 다수의 학술 논문과 대중적인 몇 권의 책을 저술했다. 국내에서 소개된 책으로는 『창조적 학습사회(Creating a Learning Society : A New Approach to Growth, Development, and Social Progress)』, 『가치 투자(Value Investing)』가 있다.
주드 칸 - 버클리 캘리포니아 대학의 역사학 박사로 역사 교사와 시 공무원으로 근무한 바 있으며, 증권분석가, CFO, 경영컨설턴트로 일했다.
▣ 역자 홍유숙 연세대학교 경영학과를 졸업하고 영국 옥스퍼드 대학교에서 MBA를 공부했다. 재무, 투자에 관심이 많아 CFA를 취득했으며, FX 딜링, 국제금융, 프라이빗뱅킹, 펀드 상품개발 등의 업무를 담당했다. 현재 국내 상업은행에 재직 중이다. 옮긴 책으로는 『워렌 버핏의 위대한 동업자, 찰리 멍거』, 『애자일 조직 혁명』, 『챌린지 컬쳐』, 『당신의 행복은 해킹당했다』, 『오픈뱅킹』, 『자존감』, 『챔피언의 마인드』 등이 있다.
▣ Short Summary 사업을 운영해 본 사람은 경쟁에 내포된 힘을 알고, 전략이 얼마나 중요한지 이해하고 있을 것이다. 그런데 사업가 대부분은 이들 두 가지 핵심 요소 간에 밀접한 관계가 있다는 것은 인지하고 있지만, 전략과 경쟁의 중요한 본성이나 상호 간의 직접적인 관계를 제대로 이해하고 있는 사람은 많지 않다. 한편 마이클 포터는 그의 저서 《마이클 포터의 경쟁전략》을 통해 모든 사업의 전략은 경쟁에서 우위를 점해야 한다는 것을 훌륭히 보여주었지만, 방법이 너무 복잡해 일반적으로 적용하기 어렵다.
이 책은 전략과 경쟁의 중요한 본성이나 상호 간의 직접적인 관계를 ‘진입장벽’이라는 하나의 요소를 사용해 명쾌하게 풀어낸다. 저자는 고객확보, 은근슬쩍 진입장벽으로 넘어가려는 시도, 망해가는 산업군에서 기업 간의 협조로 이루어낸 수익, 자유경쟁 시장에서 빛을 발하는 경영 등 진입장벽이라는 하나의 소재를 이용해 모든 사업을 분석해서 성공까지 이른 다양한 기업 사례를 우리에게 들려준다.
저자는 사업 전략을 짤 때, 내가 속해 있는 산업군에 ‘진입장벽’이 있는지를 먼저 파악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그리고 진입장벽이 있다면 그 장벽 안에 내가 있는지 밖에 있는지를 아는 것부터 시작해야 하며, 진입 장벽이 없는 사업이라면 따로 전략이란 게 필요하지 않는데, 그 이유는 모두 동일한 조건이라면 회사 내의 효율을 극대화하는 것밖에 방법이 없기 때문이라고 말한다. 결국 성공하는 사업이란 진입장벽을 높이 쌓든지, 아니면 은근슬쩍 진입장벽 안으로 들어가 경쟁하든지 두 가지 중 하나다.
그렇다면 진입장벽은 왜 생기며 어떻게 만드는가? 가장 이해하기 쉽고 확실한 방법은 지엽적 규모의 경제를 만드는 것이다. 참고로 월마트는 당시 전국적인 할인매장은 아니었지만 아칸소 지방에서는 우위에 있는 할인마트였는데, 지역적으로 잘 짜인 물류 시스템을 이용해 획기적인 영업 이익을 내고 있었고, 이후 한 지역에서의 성공을 기반으로 조금씩 확장해 나간 곳에서도 성공을 거두었다. 즉, 지엽적으로 규모의 경제를 만들어서 다른 경쟁자가 들어올 틈을 만들지 않은 것이 성공의 기반이었다.
그러나 이런 경쟁우위를 가지고 있다고 하더라도 동일한 방법을 지역적 기반이 없는 곳에서 펼치려 하면 실패하고 마는데, 그 대표적인 곳이 대한민국이다. 한국에서 월마트는 지엽적으로 규모의 경제를 달성한 기존 사업자가 아니라 신규 진입자 입장이었는데, 위치를 고려하지 않고 미국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사업을 하려 했던 것이 실패의 원인이 되었다. 한편 저자는 지엽적이라는 의미를 물리적 지역에 한정하지 않는다. 제품군에서도 지엽적 규모의 경제를 달성할 수도 있다면서, 라우터 분야에서 지엽적 규모의 경제를 달성해 뛰어난 영업실적을 달성한 시소코 같은 기업이 대표적인 예라 말한다.
▣ 차례 서문
제1장 전략, 시장 그리고 경쟁 제2장 경쟁우위 I : 공급과 수요 제3장 경쟁우위 II : 규모의 경제와 전략 제4장 경쟁우위의 평가 제5장 핵심 지역에서 규모의 경제를 달성하라 : 월마트, 쿠어스 그리고 지엽적인 곳에서의 규모의 경제 제6장 니치의 경쟁우위와 성장의 딜레마 : PC 산업의 컴팩과 애플 제7장 소멸되는 생산 경쟁 우위 : CD, 데이터 스위치 그리고 토스터기 제8장 회사들이 게임을 시작하다(경쟁 우위에 대한 구조적인 접근) 파트 1 : 범죄자의 딜레마 게임 제9장 물고 물어뜯기는 콜라 전쟁 : 죄수의 딜레마에 봉착한 코크와 펩시 제10장 장벽 안으로 진입하기 : 폭스, TV 네트워크 회사가 되다 제11장 회사들이 게임을 시작하다(경쟁우위에 대한 구조적인 접근) 파트 2 : 진입/퇴출 게임 제12장 날지 못할까 두려운 새 : 키위가 항공사 산업에 진입하다 제13장 즉석 만족은 없다 : 코닥, 폴라로이드와 한 판 붙다 제14장 왕따 없이 이루어지는 협조 : 보다 커진 파이를 공평하게 배분하기 제15장 협조 : 해야 할 일과 해서는 안 되는 일 제16장 전략적 측면에서의 가치 평가 : 더 나은 투자 결정하기 제17장 기업 확장과 전략 : M&A, 벤처 캐피털, 브랜드 확장 제18장 자유 경쟁 시장 : 경쟁 환경에서 성공하기
부록 사용 자원이나 투자에 대한 수익률을 계산하는 방법
저자 소개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