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상세정보
|
곽수종 박사의 경제대예측 2024-2028
저자 :
곽수종
출판사 :
메이트북스
출판년도 :
202311
|
곽수종 박사의 경제대예측 2024-2028
저자 : 곽수종 / 출판사 : 메이트북스
|
곽수종 지음 메이트북스 / 2023년 11월 / 328쪽 / 19,000원
▣ 저자 곽수종 연합뉴스경제TV에서 ‘곽수종의 경제프리즘’, 한국경제TV에서 ‘경제전쟁 꾼’의 진행을 맡고 있다. 리엔경제연구소를 설립해 국제금융과 국제경제에 대해 연구하고 있다. 삼성경제연구소와 대학의 교수직을 거쳐, 미 캔자스 주정부에서 일했다. 연세대학교 경제학과 졸업 후 미국 유학길에 올라 캔자스대학교에서 파생상품 금융경제학으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선문대학교 국제경제학과 교수로 재직하다가, 1998년 이후 캔자스 주 공공기업위원회에서 책임연구원으로 근무했다. 2005년 삼성경제연구소 글로벌연구실에서 수석연구원으로 재직, 미주경제 팀장을 지냈다. 지은 책으로는 『다가올 미래, 부의 흐름』, 『혼돈의 시대, 경제의 미래』, 『곽수종 박사의 대한민국 경제 대전망』, 『매일 경제공부』, 『한국경제 판 새로 짜라』, 『세계경제 판이 바뀐다』가 있다.
▣ Short Summary 21세기 신질서의 화두는 ‘각자도생’이라 할 만큼 지금은 질풍노도와 같은 혼란과 혼돈의 시대이면서 변화의 시대다. 국가는 끊임없이 미래에 대한 판단과 결단을 내려야 하고, 지속적인 생명력을 위해선 세계 모든 정부가 효과적인 정책을 시행해야 한다. 이 책은 세계 경제, 특히 미국과 중국 경제의 위기와 기회를 다루며, 각 부문별로 거시적, 미시적 요인을 살펴봄으로써 한국경제는 미중 간 경쟁에서 어떻게 살아남을 수 있을지 그 해법을 제시하고 있다.
경제학의 모태는 철학이라는 모토 아래, 경제학자 곽수종 박사는 자연과학과 사회과학을 넘나들며 세계경제 흐름에 대해 해박한 지식과 탁월한 분석력을 보여준다. 특징적인 것은 미국과 중국경제에 대한 중단기 전망을 토대로 한국경제의 2024~2028년 전망을 시나리오 분석을 통해 설명하고 있다는 점이다. “미 연준이 금리를 올리는 게 맞는가?” “미국 소비자들, 즉 가계부채는 아무런 문제가 없는가?” 이 같은 질문이 중요한 것은 이것이 한국은행과 우리 가계에도 똑같이 적용되는 문제이기 때문이다. 최근 미 연준이 금리를 5.5%까지 올리고 다시 한번 금리를 올릴 가능성을 시사했다. 이는 향후 한국과 중국경제를 포함한 신흥국 및 개도국 경제에 어떠한 파급효과를 가져올까? 2024년 미국 대선 결과는 세계경제에 어떤 영향을 미칠 것인가?
이 책은 복잡한 수식이나 경제학적 모델을 사용하기보다는 논리로 풀어내는 데 집중했다. 시대가 혼란스러울수록 살아 움직이는 모든 것은 그 자체의 생존본능을 작동시키게 된다. 위기가 되었건, 기회가 되었건 인간은 본능적으로 생존 자체에 대한 본질적 변화 혹은 파생적 변화를 직감하는데, 이를 시그널(signal)이라고 한다. 시그널을 제대로 읽어내면 위기 혹은 기회에 미리 적응할 수 있다. 저자는 강대국 미국과 중국의 싸움에 한국은 강소국가라 이 싸움에 낄 수 없다는 생각을 버리고, 이런 때일수록 생존본능을 발휘해 준비할 것을 주문한다. 이 책을 통해 세계경제가 당면한 현실과 큰 흐름을 살펴봄으로써 경제를 보는 시각이 열리고, 한국경제가 살아남을 해법을 찾을 수 있을 것이다.
▣ 차례 지은이의 말_미중 간 경쟁과 갈등에서 기회를 찾다!
PART 1 미국경제, 다가올 위기와 기회
1장 미국경제의 거시적 요인 미국의 패권에 대한 도전이 심화되다 현재의 통화정책은 무엇이고 향후 어떻게 변할 것인가? 미국의 국가 신용등급 하락이 갖는 의미는 무엇인가? 미중 간 갈등은 앞으로 이렇게 전개될 것이다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은 이렇게 진행될 것이다 브릭스의 지역 통화 거래, 그 가능성은 어느 정도인가?
2장 미국경제의 미시적 요인 미국 주택임대 시장을 각별히 예의 주시하자 미국 부동산시장, 대출 중단이 이어지다 미국 장단기 금리차이가 마침내 역전되다 미국경제에 대한 낙관론 vs. 비관론
PART 2 중국경제, 다가올 기회와 위기
1장 중국경제의 거시적 요인 휘청거리는 중국경제, 그 이유는 무엇인가? 시진핑의 리더십이 흔들리고 있다? 미중 간 디커플링은 심각한 문제다 중국경제에 대한 ‘관(觀)’과 ‘진(診)’의 차이 중국의 정치불안과 함께 주목해야 할 대만과의 관계 중국경제와 중국사회, 스스로 자신감을 잃다 시장경제 운용의 실패에 직면하다
2장 중국경제의 미시적 요인 중국 인민은행 신임 총재인 판공승에 주목해야 하는 이유 중국은 반도체 기술을 과연 확보할 것인가? 미국과 중국의 경제 협력은 이제 불가능한 것인가? 2024년에 트럼프가 당선되면 미중 관계는 어떻게 될까? 중국의 부동산시장과 금융 시스템을 알아두자
PART 3 2024년 이후 한국경제 빅픽처
시나리오를 쓰기 위한 가정을 우선적으로 점검하다 시나리오에 따른 한국경제의 미래를 예측하다 한국경제의 희망회로는 바로 이것이다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