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상세정보
|
데리다와의 데이트
저자 :
강남순
출판사 :
행성B
출판년도 :
202208
|
데리다와의 데이트
저자 : 강남순 / 출판사 : 행성B
|
강남순 지음 행성B / 2022년 8월 / 439쪽 / 23,000원
▣ 저자 강남순 미국 텍사스 크리스천 대학교 브라이트 신학 대학원의 교수다. 미국 드류 대학교에서 철학 박사 학위를 받았고, 현 대학교에서 자크 데리다 사상, 코즈모폴리터니즘, 포스트모더니즘, 포스트콜로니얼리즘 그리고 페미니즘과 같은 현대 철학적ㆍ신학적 담론들을 가르치고 있다. 특히 이마누엘 칸트, 한나 아렌트 그리고 자크 데리다 등의 사상과 연계하여 코즈모폴리턴 권리, 정의, 환대 등의 문제들에 학문적ㆍ실천적 관심을 가지고 다양한 국제 활동을 하고 있다. 저서로는 『코스모폴리터니즘이란 무엇인가: 함께 살아감의 철학, 세계 시민주의』, 『질문 빈곤 사회: 나는 질문한다, 고로 존재한다』 등이 있다.
▣ Short Summary 자크 데리다는 해체, 차연 등과 같은 개념으로 그 이름이 널리 알려진 철학자이다. 생전의 그를 두고 많은 이가 세계에서 가장 위대한 살아 있는 철학자로 칭할 만큼 데리다의 사상과 아성은 혁명적이었는데, 당연하다고 생각하는 사건과 개념의 이면을 탐구하고 의미와 가능성을 새롭게 드러내는 데리다의 철학은 문학, 예술, 건축, 음악 등 다양한 분야에서 논의되고 사용된다. 하지만 이런 데리다의 철학과 글을 직접 읽고 탐구하는 것은 지극히 제한된 학계 안에서만 머물렀다. 왜냐하면 데리다의 개념이 난해하다는 악명이 높고 읽기조차 어렵다는 평가를 받기 때문이다.
이 책은 20세기 가장 중요한 사상가로 평가받지만 난해하다는 이유로 멀게 느껴졌던 자크 데리다의 철학을 ‘데이트’라는 메타포를 사용하여 일상의 삶과 연결하려 시도한다. 저자는 자크 데리다의 생애와 철학적 자취, 정치 행보 등 복합적인 모습을 여러 통로로 탐구하고, 그가 추구했던 ‘사랑’, ‘미소’, ‘가능성과 비결정성’과 데이트하며 세밀한 ‘읽기’와 한계를 넓히는 ‘보기’가 가능하도록 이끈다.
참고로 데리다의 철학은 우리가 의심하지 않았던 것들을 끄집어내어 복합적 의미와 가능성을 드러내고, 언어, 종교, 사회, 예술, 정치, 제도, 문화 등 삶을 둘러싼 수많은 것들의 고정관념을 흔들며 생각과 실천의 폭을 넓히고 일깨우는데, 이 책에서는 이러한 데리다의 주요한 철학 도구를 자세히 소개한다. 해체, 인용 부호 속에 넣고 조명하기, 텍스트와 콘텍스트, 차연, 비결정성, 더블 제스처와 더블 바인드 등을 데리다가 어떻게 적용하고 생각했는지 일러 주는 것이다. 또 이런 철학 도구 위에 정의, 애도, 환대, 미소, 상속, 함께 살아감 등 데리다가 평생을 두고 씨름했던 주제들을 안내한다.
▣ 차례 데리다의 글소리
제1장 시작이란 무엇인가: 애도는 이미 시작되었다 - 1. 산문적 예민성과 시적 상상력 / 2. 애도는 이미 시작되었다
제2장 왜 데리다와의 데이트인가 - 1. 메타포로서의 데이트 / 2. 데리다와 나의 데이트: 자서전적 노트 / 3. 데리다와의 데이트, 그 ‘불편함’과 희열
제3장 왜 데리다인가: 데리다 유산의 상속자들 - 1. 왜 데리다인가: 데리다는 ‘나’에게 왜 중요한가 / 2. 우리는 상속자: 존재한다는 것은 상속받는다는 것이다 / 3. 데리다 유산의 상속: 세 가지 과제 제4장 데리다는 누구인가: 데리다 언더 이레이저 - 1. 데리다는 누구인가: 오토바이오타나토그라피 / 2. 재키 데리다, 아웃사이더 / 3. 데리다의 죽음, 그리고 죽음 이후
제5장 데리다, 뿌리 뽑힌 이방인: 저작과 공적 활동 - 1. 저작과 언어를 통한 혁명 / 2. ‘낭테르 어페어’: 박사 학위 구두시험과 교수직 지원 / 3. 프랑스와 미국에서의 학문적 활동과 사회 변혁 운동 / 4. ‘어페어’들 속의 데리다: 사회 정치적 함의들 / 5. 데리다 사후의 출판 / 6. 다시, 데리다는 누구인가: 데리다 언더 이레이저
제6장 데리다와의 데이트를 위한 읽기: 일곱 가지 제안 - 1. 데리다 글에 등장하는 중요한 표현: 다섯 가지 / 2. 데리다와의 데이트를 위한 읽기: 일곱 가지 제안
제7장 해체적 읽기: 정치적ㆍ윤리적 책임성 - 1. 읽기란 무엇인가: 정치적ㆍ윤리적 책임성 / 2. 해체적 읽기: 생명 긍정의 도구
제8장 해체: 사랑의 작업, 인식 세계의 지진 - 1. 해체란 무엇인가: 오해와 이해 / 2. 전통 계승의 과제로서의 해체 / 3. 차연: 다름과 지연 / 4. 해체: 생명 긍정의 초대장, 불가능성에의 열정
제9장 환대: 환대 너머의 환대, 편안함의 해체 - 1. 적대ㆍ환대의 질문: ‘당신은 누구인가’ / 2. “우리는 환대가 무엇인지 알지 못한다.”: 네 가지 의미 / 3. 적대와 환대의 얽힘: 호스티피탈리티 / 4. 환대의 두 축과 코즈모폴리턴 환대
제10장 애도와 연민: 함께 살아감의 존재 방식 - 1. 왜 연민인가: 살아감이란 ‘함께-살아감’ / 2. 연민이란 무엇인가: 근원적인 존재 방식 / 3. “애도한다, 고로 존재한다.”: 애도의 정치학과 코즈모폴리턴 연민
제11장 인간과 동물: ‘동물에 대한 범죄’를 넘어서 - 1. ‘자서전적 동물’: ‘동물’은 철학적 주제가 될 수 있는가 / 2. ‘우리가 동물이라고 부르는 그것’, 고양이와의 조우 / 3. ‘동물’, 동물에 대한 범죄와 동물의 식민화 / 4. 인간과 동물: 주권과 죽일 수 있음 / 5. 인간과 동물 관계의 변혁: 존재론적 필요성과 윤리적 의무
제12장 데리다와 종교, 데리다의 종교: 종교 없는 ‘종교’ - 1. 우리는 종교가 무엇인지 모른다: 종교의 ‘발명’ / 2. 종교, 범주화 열병 / 3. 데리다와 종교 / 4. 데리다의 종교: 종교 없는 ‘종교’
제13장 데리다의 유산, ‘함께 살아감’의 과제 - 1. 데리다는 페미니스트인가 / 2. ‘새로운 선생’, 데리다: ‘전적 타자’를 향한 관대함, 시선 그리고 웃음 / 3. 데리다의 유산, 함께-살아감의 과제
연보 / 찾아보기 / 참고문헌
|
|
|
|
|